내부단편화(internal fragmentation)
- 분할의 사용하고 남은 일부분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크기를 갖는 분할에 '80'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을 배치하였을 경우 '20'의 공간이 내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
외부단편화(external fragmentation)
- 분할의 크기가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작아서 사용되지 못한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 크기를 갖는 분할이 있을 때 '120' 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은 배치 되지 못하며 '100'의 공간이 외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
'창고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처기 한줄공부] 정규화(Nomalization)의 개념과 정규화 과정(1NF, 2NF, 3NF, BCNF) (0) | 2021.02.23 |
---|---|
[정처기 한줄공부] Linux / Unix 의 커널(Kernel) 과 쉘(Shell) (0) | 2021.02.23 |
[정처기 한줄공부] Thrashing(쓰레싱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교착상태(deadlock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OS 운영체제 - 임계영역(critical section) (0) | 2021.02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