쓰레싱(Thrashing) 에 대한 개념
-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게 될 떄, 메모리의 페이지 부재(page fault)율이 높은것을 의미, 심각한 성능저하
쓰레싱의 원인
-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CPU 이용률이 높아지게 되고, CPU이용률이 최대값이 도달했을때 쓰레싱이 일어난다.
쓰레싱 현상 방지
- 각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프레임 갯수를 보장해 주어야한다.
'창고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처기 한줄공부] Linux / Unix 의 커널(Kernel) 과 쉘(Shell) (0) | 2021.02.23 |
---|---|
[정처기 한줄공부] 내부단편화 / 외부단편화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교착상태(deadlock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OS 운영체제 - 임계영역(critical section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버블정렬(bubble sort) (0) | 2021.02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