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계영역(critical section)에 대한 개념
- 임계영역이란 프로세스간에 공유자원을 접근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이용하게끔 보장해줘야 하는 영역
임계영역문제를 해결하기위한 3가지 조건
- 상호배제(Mutual exclution) : 하나의 프로세스가 임계 영역에 들어가 있다면 다른 프로세스는 들어갈 수 없어야 한다.
- 진행(Progress) : 임계 영역에 들어간 프로세스가 없는 상태에서 들어가려 하는 프로세스가 여러개라면 어느 것이 들어갈지 결정해주어야 한다.
- 한정대기(Bounded waiting) : 다른 프로세스의 기아(Starvation) 을 방지하기 위해, 한번 임계구역에 들어간 프로세스는 다음번 임계영역에 들어갈때 제한을 두어야한다.
임계영역 동시접근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
- 락(lock), 세마포어(semaphopre), 모니터(monitor) 등이 있다.
'창고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처기 한줄공부] Linux / Unix 의 커널(Kernel) 과 쉘(Shell) (0) | 2021.02.23 |
---|---|
[정처기 한줄공부] 내부단편화 / 외부단편화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Thrashing(쓰레싱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교착상태(deadlock) (0) | 2021.02.22 |
[정처기 한줄공부] 버블정렬(bubble sort) (0) | 2021.02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