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키(Key) 종류와 뜻 1. 후보키 : 후보키(candidate key)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. 최소성(minimality)은 키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속성 중에서 하나라도 없으면 투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없는, 꼭 필요한 최소한의 속성들로만 키를 구성하는 특성이다. 그러므로 하나의 속성으로 구성된 키는 당연히 최소성을 만족한다. 수퍼키 중에서 최소성을 만족하는 것이 후보키가 된다. 2. 대체키 : 대체키(alternate key)는 기본키로 선택되지 못한 후보키들이다. 3. 슈퍼키 : 수퍼키(super key)는 유일성의 특성을 만족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이다. 4. 외래키 : 외래키(foreign key)는 어떤 릴레이션에 소속된 속성 또..
정규화(Nomalization) 의 개념 -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할 수 있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해 나가는 과정 정규화 과정(1NF, 2NF, 3NF, BCNF) 제1정규형(1NF) -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값으로만 구성되어 있다. 제2정규형(2NF) -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히 함수 종속적일 경우. 제3정규형(3NF) -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이행적 함수 종속적이 되지 않을 경우 보이스/코드 정규형(BCNF) - 3NF를 만족하면서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 집합에 속한 정규형
내부단편화(internal fragmentation) - 분할의 사용하고 남은 일부분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크기를 갖는 분할에 '80'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을 배치하였을 경우 '20'의 공간이 내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 외부단편화(external fragmentation) - 분할의 크기가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작아서 사용되지 못한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 크기를 갖는 분할이 있을 때 '120' 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은 배치 되지 못하며 '100'의 공간이 외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
교착상태(deadlock) 에 대한 개념 - 두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를 가리킨다. 교착상태의 예방 - 상호배제 조건의 제거, 점유와 대기 조건의 제거, 비선점 조건의 제거, 환형 대기 조건의 제거 교착상태의 회피 - 자원할당 그래프 알고리즘(Resource Allocation Graph Algorithm) - 은행원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