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규화(Nomalization) 의 개념 -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할 수 있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해 나가는 과정 정규화 과정(1NF, 2NF, 3NF, BCNF) 제1정규형(1NF) -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값으로만 구성되어 있다. 제2정규형(2NF) -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히 함수 종속적일 경우. 제3정규형(3NF) -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이행적 함수 종속적이 되지 않을 경우 보이스/코드 정규형(BCNF) - 3NF를 만족하면서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 집합에 속한 정규형
쉘(Shell) - cmd를 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. - 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운영체제가 수행할수 있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이를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전달하는 일을 한다. 즉,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운영체제가 수행 할수있도록 통역해주는 일을한다. (명령어해석기) 커널(Kernel) - 운영체제의 핵심으로서 입/출력 관리, 기억장치관리, 프로세스관리 , 메모리관리, I/O 시스템관리, 파일시스템 관리 등을 수행한다.
내부단편화(internal fragmentation) - 분할의 사용하고 남은 일부분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크기를 갖는 분할에 '80'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을 배치하였을 경우 '20'의 공간이 내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 외부단편화(external fragmentation) - 분할의 크기가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작아서 사용되지 못한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 '100' 크기를 갖는 분할이 있을 때 '120' 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은 배치 되지 못하며 '100'의 공간이 외부 단편화 공간이 된다.
쓰레싱(Thrashing) 에 대한 개념 -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게 될 떄, 메모리의 페이지 부재(page fault)율이 높은것을 의미, 심각한 성능저하 쓰레싱의 원인 -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CPU 이용률이 높아지게 되고, CPU이용률이 최대값이 도달했을때 쓰레싱이 일어난다. 쓰레싱 현상 방지 - 각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프레임 갯수를 보장해 주어야한다.